일반사채부분은 부채로 반영하고, 전환권가치는 자본으로 반영하여 회계처리를 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환할증조건인지에 따라서도 회계처리가 달라진다고 하셨는데
계약서를 보니,
사채의 이율,
1. 표면이율 0%
2. 만기보장이율 : 주식으로 전환되지 아니한 사채금액에 대하여 각 사채발행일로부터 상환기일까지 연복리 8.0%
질문 1) 이렇게 쓰여있으면 아래 제시해 주신 분개 중 상환할증조건에 해당하나요?
책을 봐도 어렵네요.ㅠㅠ
상환할증조건인 경우
차) 현 금 XXX 대) 전 환 사 채 XXX
전환권조정 XXX 사채상환할증금 XXX
전환권대가 XXX
상환할증조건이 아닌경우
차) 현 금 XXX 대) 전환사채 XXX
전환권조정 XXX 전환권대가 XXX
질문2) 그리고 일반사채시장수익율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질문3) 이자현가와 원금현가는 어떻게 구하나요?
책을 보면 예를 들어 700 *2.2832(이자율 15%, 기간 3, 1원의 원금현가) 이렇게 써 있는데 2.2832가 어떻게 나왔는지 모르겠어요.
답변
1. 상환할증금은 전환사채의 소유자가 만기까지 전환권을 행사하지 않아 만기상환하는 경우에 사채발행회사가 소유자에게 일정 수준의 수익률을 보장하기 위하여 만기가액에 추가하여 지급하기로 약정한 금액인바, 귀사의 경우는 상환할증조건에 해당합니다.
2. 일반사채시장수익율은 전환권 또는 신주인수권이 없는 일반사채의 유효이자율인데, 사채를 거래하는 금융회사 등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3. 전환증권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기업회계기준서 제9호를 참고하시거나, 일반 시중의 \"중급회계\" 책자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