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여 원가회계를 담당하고 있는 신입사원입니다.
다름이 아니 ERP로 원부자재를 수불하는 과정에 있어서여 지금까지는 원래료 부재료 저장품을 코드로 잡고 경상연구용으로 원재료 부재료 저장품 코드를 잡고 경상연구용으로 들어온 원부자재는 기타출고로 떨구여 전산에는 기타출고만 있습니다. 생산을 목적으로 들어온 원부자재는
정상출고로 떨리구 폐기나 파손등은 기타출고로 해서 세부내역으로 정리하고 그에 따른 증빙을 첨부하였습니다.하지만 공장에서 경상연구로 들어온 것이나 생산용으로 들어온 것이나
하나의 코드를 잡아서 경상연구용은 기타로 떤다고 했는데 이러면 문제가 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팀장님도 안된다고 하시구여
현재는 원재료 XXX / 외상매입금 XXX
부재료 XXX
저장품 XXX
경상연구개발비 XXX / 외상매입금 XXX
이렇게 세금계산서도 따로 받고 그에따른 거래명세표도 따로받아 전산에 코드로 관리를 하는데
만약에 이걸 합쳐서 공장에서는
원재료 XXX / 외상매입금 XXX
부재료 XXX
저장품 XXX
이렇게 처리하자고 하는데 그럼 기타출고가 많아지면 제가 알기로는 원부자재의 경우는 정상적인 생산활동에 쓰여져야 하는데 기타가 많아지면 문제가 되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1. 왜 안되는지 이유와 2. 근거를 들어서 설명부탁드립니다.
상위자에게 안되는 이유를 보고해야 해서여 그럼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용^^
답변
원가는 자산화 되었다가 판매되는 시점에 비용화되지만, 경상개발비는 처음부터 바로 비용으로 반영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제품의 생산에 직접 사용되는 원가와 경상개발비(비용)는 구분되어 관리하여야 합니다.그러나 각 품목마다 구분관리 집계안하고 합해서 하다보면 기타출고가 많아지며 내부회계관리복적상 문제는 안됩니다 외부거래증빙만 맞으면 되니까요
기타출고가 많아진다고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나, 제조원가로 반영되는 원부재료와 경상비로 처리되는 원부재료를 하나로 관리하는 경우 원가산출 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구분관리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생산에 앞서 시험연구가 필요한 경우 경상개발비도 제조원가에 반영되는바, 원재료 등에 포함하여 처리하더라도 문제는 되지 않습니다.